함안 말이산고분군 75호분에서 가야문화권에서는 처음으로 5세기 중국 남조에서 만든 연꽃문양 청자 그릇이 발굴됐다. 특히, 청자 발굴로 중국 문헌에 기록된 '가라국왕 하지'가 대가야가 아닌 아라가야 왕이었던 것으로 해석할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함안군과 문화재청은 11일 오전 함안 말이산고분군 75호분 현장에서 핵심유적 발굴조사 성과공개회를 하고 5세기 중국 남조에서 만든 연꽃문양 청자그릇(中國製 靑磁 蓮瓣文 碗)이 발굴됐다고 밝혔다.
군은 말이산고분군의 체계적 정비와 보존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지난 7월부터 75호분을 대상으로 발굴조사를 시작했다. 지름 20.8m, 높이 3.5m 봉분을 걷고 덮개돌 11개를 들어내자 길이 8.24m, 너비 1.55m, 높이 1.91m 대형 돌덧널무덤이 확인됐다. 동서 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태 돌덧널무덤은 가운데 주장자 공간을 기준으로 서쪽에 유물 부장공간을, 동쪽에는 순장자를 배치하는 말이산고분군의 전형적인 특징이 그대로 나타났다.
연꽃무늬 청자는 서쪽 유물 부장공간에서 구경 16.3㎝, 높이 8.9㎝, 밑바닥 지름 7.9㎝ 크기로 거의 완형에 가까운 형태로 출토됐다.
청자는 모두 16개 연잎이 겹쳐서 그릇을 감싼 형태로, 음각·양각기법을 모두 사용해 입체감이 있게 만들어졌다. 이런 모습은 5세기 중국 유송(劉宋)대 청자 그릇이 띠는 대표적 형태다.
청자 제작 시기는 중국에서 출토된 남조 송(宋)대 402년(영초 원년(永初 元年) 출토품과 474년(원미(元微) 2년) 출토품과 비교·분석한 결과 474년을 전후한 것으로 추정했다.
75호분에서는 이 밖에도 큰 칼 2점·쇠창·쇠도끼·금동장식 화살통·화살 등 무기류와 말갑옷·등자(발걸이)·안교(안장)·금동제 허리띠장식·큰항아리·굽다리접시 등 토기류 50여 점도 함께 출토돼 이로 미뤄 무덤은 5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했다.
군은 아라가야 최고지배층 묘역인 말이산고분군에서 중국 남조(南朝) 최고급 청자가 출토됐다는 사실은 5세기 후반 남조와 아라가야가 교류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